그리 훌륭한 집도 아니고....해서 간단한 방법으로 쉽게 쉽게 가기로 결정 !!!

먼저 크기를 결정하는데, 데크 만들자리를 잘 살펴보고 집의 어디 부분에 어디서 어디까지 어떤 모양으로 만들지를 생각한다.

처음 해보는 사람에겐 까다롭겠지만 도면을 그려 들어갈 자재에 대해서 상세히 리스트도 만들어 보고, 실제 자재상(Lowes 나 Homedepot)에 나가 가격이나 종류를 알아보고 미리 맘에 결정해 둔다.

사전 조사를 해보면 예산도 세울수 있고 다양한 자재들을 살펴 봄으로 디자인 하는데도 큰 도움이 된다.

막연히 구상이 되지 않으면 Lowes 나 Homedepot에 들러 데크 만드는 많은 책들이 있으므로 보고 구상해 보자.

도면 제작이란게 해보지 않으면 좀 까다롭다. 그런데 Lowes 나 Homedepot 의 웹사이트에 가면 도면 제작할수 있는 tool을 제공하므로 이를 이용하면 쉽게 도면을 제작하고, 자재 계산해서 리스트 까지 만들어 주며, 3D의 입체 화면도 볼수가 있다.

아래 주소의 Lowes 사이트를 방문해 보세요. (미국이 아닌분들도 참조로 들어가 보면 도움이 됨.)www.lowes.com/deckdesigner

우리집 에서는 ..먼저 레이아웃을 잡는데 규정 이하로 하려면 데크 높이를 30인치 이하로 해야하므로, 우선 데크 만들 자리 중 사각형의 네 곳 중에 제일 낮은 포인트에서 30인치 높이를 기준점으로 잡고'수평선을 맞춰 집의 벽면에 먼저 라인을 잡아 준다. (수평선은 물 호스를 이용해서 본다.) 

집 벽면에서 데크의 길이가 26피트이므로 어디부터 어디까지 인지 먼저 그려놓은 수평선 상에 표시를 해주고, 데크 예정 위치의 사방으로 기둥을 박아 데크 크기가 되게 줄을 띄어 준다. (1-1)


그 다음은 가로 방향으로 길게 받침목이 들어갈 라인을 잡아주고, 그 받침목 믿에 세울 기둥 위치를 잡아 베이스를 만들어 준다.
데크가 좀 높다면(가능하다면) 콘크리트 원형 기둥을 땅속으로 만들어 주는게 좋다.

우리집은 낮게 만들기 때문에 쉽게 가기 위해 기성품 블럭을 사다 위치 잡아서 깔아 줬다. (1-2)


벽면에 고정한 나무에 데크 세로의 가로목을 댈 자리에 걸림쇠를 고정한 모습이다.

간격은 14인치로 하였다. 전체 길이 26피트를 대략 14~16인치로 나눠 몇개의 가로목을 놓을 것인지 결정하면 될거 같다.

우리집은 길이가 26피트(312인치) 이므로 14인치 간격으로 하고 좌우끝 양쪽은 16인치씩 하니 딱 맞아 떨어졌다.  (1-3)

대략 기초 작업은 대충 끝난것 같다.
이제 긴 자재를 사서 실고 와야 하는데 집에 미니밴에는 10피트 길이 밖에 못 실으니 차를 빌려 실어야 한다..

다음엔 가로목 얹는 모습을 올려야지~


'작업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담장 (Fence) 치기  (0) 2010.07.03
데크(Deck) 만들기 3 (난간)  (0) 2010.02.06
데크(Deck) 만들기 2 (상판)  (2) 2010.01.31
데크(Deck) 만들어 보기  (0) 2010.01.30
Posted by 白頭
,
이사를 하면서 부터 늘 꿈 꿔왔던 데크(Deck) 만드는걸 시작 했습니다.

미국이 좀 까다롭게 원칙적인거를 보니까 미리 사전에 잘 알아보고 가능하면 규정대로 하는 것이 뒤탈이 없고 좋은데, 간혹 데크를 만드려는 면이 바깥쪽에서 보이지 않고 눈에 안띄면 허가 없이 하는 분들도 있어요. 데크가 생기면 텍스(Tax-스쿨텍스)가 올라가는 지역이 있으니까요.
 
먼저 타운하우스(동사무소)를 방문했죠.
우리 동네 알아보니 규정에 높이 30인치, 폭이 18피트 이상이면 도면에서 부터 매 중간 작업에 인스펙션 받아야 하는것까지 복잡한게 많았습니다.
가로 길이는 얼마이든지 상관이 없다네요.

하여튼 이 기준치보다 더 큰 사이즈의 데크를 만든다면 먼저 신청서를 작성하고 도면을 첨부하여 허가를 받아야합니다.

허가가 나면 작업을 시작할수 있는데, 기둥을 세울 자리에 땅속으로 30인치 이상의 깊이로 콘크리트 기둥을 만들어야합니다. 이 기초 작업이 끝나면 1차 인스펙션을 합니다.
통과되면 그 다음은 기본 골격(뼈대) 작업을 해야겠지요.
그 다음에 또 한번 인스펙션.  그리고 최종 데크 작업을 하여 마칩니다. 그리고 인스펙션.
이렇게 여러 차례 인스펙션을 마치고 완성을 할수 있는것 같습니다.
물론 매번 인스펙션을 받을때 허가 받은 도면과 규격에 맞게 제작이 되어야 겠지요.
저는 이런 절차가 귀찮하기도 했지만 집의 구조상 낮게 만들어도 되겠기에
높이 30인치, 폭 15피트, 가로길이 26피트로 복잡한 과정이 필요없는 방법을 택했습니다.
 
다음 글부터 실제 만드는 내용을 올립니다.

'작업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담장 (Fence) 치기  (0) 2010.07.03
데크(Deck) 만들기 3 (난간)  (0) 2010.02.06
데크(Deck) 만들기 2 (상판)  (2) 2010.01.31
데크(Deck) 만들기 1 (기초)  (0) 2010.01.30
Posted by 白頭
,

아이폰을 전화 회사(Carrier)와 계약하여 사용한다면 이 과정이 필요없겠고, 다른 경로를 통해 전화기만 구입했는데 다행히 그 아이폰이 자기가 사용하던 전화 회사와 같은 회사를 사용하였었다면 이 작업을 할 필요가 없겠다.

그런데 구입한 아이폰이 자기가 사용하는 전화 회사와 다른 회사용이었다면 이 언락(Unlock) 작업을 해주어야만 사용 중이던 심카드를 아이폰에 꽂아 전화를 사용할수 있다.

인터넷에서 "iphone unlock"을 찾아 보면 수많은 방법들이 있고 조금만 신경쓰면 그 중에 크게 어렵지 않게 스스로 해 볼수 있는 것들이 있다.

그러나 먼저 아이폰이 Jailbreaking(탈옥) 되어 있어야 한다.

아래의 유투브(youtube.com) 영상을 보면 쉽게 할수 있을것 같다.

http://www.youtube.com/watch?v=E9NXstX0-Tk

1. Jailbreaking(탈옥) 되어 있는 아이폰의 어플 중에서 Cydia를 실행한다.

2. 화면이 나오면 아래줄 메누의 Manage 탭을 누르고 화면 바뀌면 Sources 로 들어간다.

3. 화면이 나오면 윗줄에서 "Edit"을 누르고, 또 "add"를 누른다.

4. 어드레스를 입력할수 있는 란이 열리는데 그곳에 http://repo666.ultrasn0w.com 이 되게 입력하고 "Add Source"를 누른다.

    이 주소의 ultrasn0w 부분의 0은 알파벳 o(오우)가 아니라 숫자의 0(영)이다.

5. 업데이트가 진행되고 나면 "Return to Cydia"를 누른다.

6. 화면에서 repo666.ultrasn0w.com 을 누르고, 바뀌면 "Ultrasn0w"를 누른다.

7. 새 화면 오른쪽 위에서 "Install"을 누르고 또 그자리에 새로나온 "Confirm"을 누른다.

8. 자 이제 전화를 껐다가 다시 켜면 언락이 되어 이용하던 전화 회사 심카드로 전화를 사용할수 있겠다.

 

이상은 위의 유투브 동영상을 보고 순서대로 적어 본것이다.

아이폰 종류에 따라, 또 firmware(버전)에 따라 다를수도 있으니 검색을 많이 해보고 자기 전화기에 맞는 방법을 따라 하면 그리 어렵지 않게 할수 있을것 같다.


'맥과아이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폰 강화 유리 교환  (0) 2010.02.05
아이폰 탈옥(Jailbreak) 시키기  (0) 2010.01.30
아이폰 써 보기  (0) 2010.01.30
Posted by 白頭
,